안녕하세요, 메리아빈입니다.
드디어 여러분들이 기다리셨던 쇼핑몰 세금에 대한 이야기를 2025년 버전으로 준비했습니다. 저는 세무사는 아니지만, 쇼핑몰 운영하면서 세금 폭탄을 맞았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도와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쇼핑몰 운영자가 꼭 알아야 할 세금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
|
쇼핑몰 운영 시 필수로 알아야 할 세 가지 세금
-
부가가치세(부가세)
-
부가세는 상품을 판매할 때 내는 세금으로, **세율은 10%**입니다.
-
예를 들어, 10,000원짜리 상품을 판매하면 1,000원의 부가세를 내야 합니다.
-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1월), 일반과세자는 1년에 두 번(1월, 7월) 납부합니다.
-
부가세 계산법: (판매가 - 매입가) × 10%
-
동대문에서 의류 매입 시, 매달 1~5일 사이에 매입한 총 금액의 10%를 매장에 입금해야 합니다.
-
Tip: 매입을 증빙하려면 세금계산서를 꼭 챙기세요!
-
종합소득세(종소세)
-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배당금 등)에 대한 세금입니다.
-
소득 구간별 세율 (예시)
-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원~5,000만 원: 15%
-
5,000만 원~8,800만 원: 24%
-
8,800만 원~1억 5천만 원: 35%
-
1억 5천만 원 이상: 최대 45%
-
매출이 커질수록 종합소득세 부담이 커지므로, 일정 수준 이상 매출이 나오면 법인 전환도 고려해 보세요.
-
원천세
-
직원을 고용했을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월급에서 사대보험과 함께 공제됩니다.
-
직원 월급의 일정 비율을 사업주가 부담하며, 대략 월급의 10% 수준이 원천세로 납부됩니다.
-
매달 급여 지급 시 공제되며, 직원 수가 많아질수록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세금 신고 시 가장 흔한 실수
-
매출 누락: 현금 거래나 소규모 작업을 누락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매입 누락: 세금계산서를 받지 않으면 비용을 인정받지 못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세금계산서 확인 미흡: 발행 요청 후 실제로 발급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부가세 미신고: 매출이 없더라도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무신고 시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필요 경비 누락: 임차료, 카드 사용 내역, 현금영수증 등 공제 가능한 항목들을 놓치지 마세요.
세금 문제를 피하려면?
✔ 세금계산서를 철저히 챙기세요. ✔ 월별 매출·매입 내역을 정리하세요. (엑셀 파일 활용 추천) ✔ 세무사와 상담해 보세요. (특히 매출이 커질 경우) ✔ 사업자 등록증을 온라인 쇼핑몰 및 거래처에 등록하세요.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쇼핑몰 운영에 있어 꼭 필요한 세금 정보를 전달드렸습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이 세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
|
|
쇼핑몰, 도매 촬영대행 / 릴스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피팅모델 섭외가 필요하시다면?
|
|
|
트렌드를 앞서가는 팀클로젯미의 힘을 경험하세요
될 수 있는 한 최고가 돼라
오직, 의류 쇼핑몰을 위한 컨설팅
아래 링크를 누르면 웹사이트와 유튜브로 이동합니다.
|
|
|
|